1. 쉬운 한말글 쓰기 운동
  2. 현장 소리를 들어야!(현장 꾀가 있어야!)
    1. 현장소리 듣기 모둠
  3. 말글은 힘[권력]이요, 쉬운 말은 민주주의입니다.
    1. 말은 겨레를 갈래짓는 중요한 알맹이!
    2. 줏대있는 말글살이
    3. 우리말글 특징을 살리는 말글잣대와 말글교육
    4. 뭇사람들 말글살이는 쉽게쉽게!
    5. 우리말글을 나라말글 자리에!
    6. 갈 데[목표]
      1. 우리말 말뿌리 살리기
      2. 새로 말을 지을 때 우리말로 짓는 버릇 들이기
    7. 뭇꾀 모으기
  4. 얼개모둠
    1. 딴겨레말을 우리말글로 옳게 옮길 수를 찾는 얼개모둠
    2. 나라말글 연구 얼개모둠
      1. 나라마름[대통령] 바로 아래에 두는 것도 생각해 보기
    3. 만들려니, 많아도 너~~~무 많아. 꼭 필요한 것만 만들고 나머지는 민간에 넘겨야!!!
    4. 나라말글, 나라역사, 교육은 특별기구가 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그 밖에 다른 특별기구는 그 즈음에 꼭 필요한 것으로...)
  5. 우리 말글을 쉽게 할 수
    1. 갈 데[목표] : 우리말글을 쓰는 사람이면 누구라도 알아듣고 알아볼 수 있는 말글살이/어려운 말글로 손해보는 일이 없도록
    2. 잣대
      1. 말글을 일로 하는 사람에게는 꼼꼼하게, 뭇사람들 말글살이는 자유롭게
      2. 지금까지처럼 오직 하나 뿐인 잣대를 만들지 말아야!(본보기만 낼 뿐)
      3. 말글을 살피는 모둠과 사람들을 서로 엮어 말글에 목숨 불어넣기
        1. 나라말글 정책기관이 할 구실
    3. 나라말 잣대를 쉽게 하기
      1. 말글살이를 옭아매는 잣대는 적을수록 좋다.
      2. 말글을 옭아매는 잣대가 적어야 말글이 쉬이 커나갈 수 있다.
    4. 행정말글, 법률말글 쉽게 하기
      1. 살피는 얼개모둠 두기
    5. 쓰임말[전문용어,기술용어] 바루기
      1. 땅이름 바루기
    6. 나라말글 잣대 바루기
      1. 첫소리잣대, 사이시옷,
    7. 말글 높임법 쉽게 하기
      1. 억지로 하지 말고 본보기를 보이는 투로만...
  6. 나라말글 정책 바루기
    1. 갈 데[목표] : 나라말글 정책을 알기 쉽게 하고, 말글살이를 편하게 하는 말글정책으로(쉽고 편하고 단촐하게)
    2. 우리말 살려쓰기를 바탕으로 한 한글로 쓰기[한글 전용]
      1. 정부, 지자체, 기업에서 어길 때 받을 벌을 또렷이 하기
    3. 말글살이 - 뭇사람은 편하게, 말글을 업으로 삼는 이에게는 까다롭게
    4. 나라말정책기관을 새로이 자리매김하기
      1. 온갖 한말글 연구 모둠들을 잇[네트워크]는 곳으로
    5. 한글에만 치우친 정책에서 우리말도 함께 살피는 정책으로...
    6. 지키고 옭아매는 나라말글 정책에서 키우고 살리는 말글 정책으로
    7. 나라말글 솜씨 자격 갖추기
      1. 가르치는 이[교사] 자격에 나라말글 솜씨를 밑바탕으로[의무화]
      2. 번역가 자격에 나라말글 솜씨 넣기
      3. 나라머슴[공무원] 시험에 나라말글 솜씨 자격 넣기
    8. 나라말글 기본법을 다듬고 지키게 하기
      1. 지금은 '국어기본법'이 있으나 정부, 관공서 마저도 지키지 않는다.
    9. 뭇사람[민간]이 한말글을 연구하도록 북돋우기
    10. 나라말글 과목을 기본과목으로 하기
      1. 나라말글 가르치는 이를 특별히 더 많이 키우기
    11. 모든 공공기관 시험에 나라말글 과목 넣기(나라역사와 함께)
      1. 나라말글 자격 갖춘 나라머슴에게 가산점 주기
  7. 나라말글 가르치기 정책 바루기
    1. 갈 데[목표] : 우리말 살려쓰기를 바탕으로, 이론에서 벗어나 실제 말글을 더 잘 쓸 수 있도록 하고, 딴겨레 사람들 쉽게 우리말글을 배울 수 있도록
    2. 말하기 가르치기와 문학 가르치기에 무게 더 두기
    3.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나라말 가르치기
    4. 이론 교육, 외우는 교육에서 해 보고 깨치도록 가르치기
    5. 나라말글 교육 잣대 가지런히 하기
      1. 딴 겨레에게 가르칠 수 마련하기
      2. 딴나라에 머무는 우리 겨레에게 한말글을 가르치는 얼개모둠[기구]
    6. 말 솜씨를 더 돋게 보는, 한말글 자격 나라 시험
      1. 우리말투 살리고 키우기
      2. 삶 곳곳에서 되도록 여러가지 혜택 주기
    7. 가르치는 책[교과서]에 우리말투 살려 쓰기(특히, 나라말글책!)
    8. 먼저 가르칠이를 가르치고, 더 키워내야
  8. 우리말글을 키울 수
    1. 갈 데[목표] : 우리말글을 다듬고 바루고 연구하는 것을 돋[권장]워 우리말글이 가진 장점을 온 누리에 드러내도록...
    2. 말글옮김 전문 기구 만들기
      1. 우리 문학 작품을 딴나라말로 옮기기
        1. 우리도 노벨문학상 타자!
        2. 우리 문학이 딴나라에서 인정받도록 하자!
      2. 딴나라 글을 우리말로 제대로 옮기기
        1. 말글 뜻이 어려워 알거리[정보]를 얻는 데에 어려움이 없도록
      3. 새로 들어오는 딴겨레말을 우리말로 갈음하기
      4. 뭇꾀를 모아서 하기
    3. 온갖 말광[사전] 만들기
      1. 본보기나라말광[표준국어대사전] 다시 만들기
      2. 말뿌리광[어원사전]
      3. 사투리말광
      4. 옛말광
      5. 흔히 쓰는 들온말과 그에 갈음할 우리말 견줌 말광
      6. 얽힌말광
        1. 서로 얽힌 말들을 DB로 만들어서 인터넷 시대에 대비 알맹이낱말을 중심으로 얽힌 말들을 모아서 검색 같은 데서 편하게 쓸 수 있도록...
    4. 한글 낱자 다시 가지런히 하기
      1. 옛 낱자 살리기
      2. 한글로 소리기호 적기
      3. 우리말 소리값을 제대로 적을 수 마련하기
      4. 한글을 세계소리기호로!
    5. 한말글을 가지런히 하기
      1. 남북 말글 통일하기
      2. 한말글 온누리 표준 만들기
        1. 딴나라에 살고 있는 우리 겨레, 딴나라 사람도 같은 잣대로 우리 말글을 배울 수 있도록
      3. 기기에서 표준 만들기
        1. 한글쇠 가지런히 하기
          1. 슬기틀[컴퓨터] 글쇠 표준 - 세벌식도 함께
          2. 똑똑전화 [스마트폰], 태블릿에서 한글 표준 문제 - 자유로이? 억지로 표준 두지 않기?
        2. 한말(우리말)과 한글 원리에 맞는 글꼴 처리 방법 만들기
      4. 우리말 뿌리가 살아있는 사투리 되살리고 연구하기